본문 바로가기
정보

제사상 지방쓰는 방법!

by 친화적인 공감 2021. 6. 29.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제사상 지방 쓰는 법에 대한 정보들을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저도 나이 먹어가지만 어렵고 헷갈리는 것 중에 하나라서 

여러분들은 꼭 헷갈리지 않도록 알려드리고 싶었는데요!

긴 글이라도 꾹 참고 읽고가세요!

 

-

 

평균적으론 5열로 차리게 되고
신위가 있는 쪽을 1열로 하면 1열은 식사류인
밥과 국 등이 오르고

2열은
제사상의 주요리가 되는 구이, 전 등이 오릅니다.

3열에는 생선, 두부, 고기탕 등 탕류 올라갑니다.

4열에는 나물, 김치, 포 등 밑반찬류

5열에는 과일과 과자 등 후식에 해당하는 것들이

올라가죠

 

-

 

 

 

-

 

첫째 줄은 홍동백서(紅東白西)에 따라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놓아야 합니다.

 

동조서율(東棗西栗)'로 대추는 동쪽에, 밤은 서쪽에 배치하고, '조율이시(棗栗梨枾)'로 대추 -밤 - 배 - 감 순서로

서쪽부터 동쪽으로 차례대로 놓아야 합니다.

 

둘째 줄은 어떻게 놓아야 할까요?

 

1. 좌포우혜(左脯右醯)로 서쪽 끝에는 포를 동쪽 끝에 식혜

 

2. 물김치와 숙채(삼색 나물), 간장은 가운데

 

세번째 줄 놓는방법

 

1. 육탕(고기), 소탕(두부), 어탕(생선) 등 탕 순서

 

넷째 줄은

어동육서(魚東肉西)로 생선은 오른쪽, 육류는 서쪽에 차려야 하는데요, 이때 생선은 두동미서(頭東尾西)를 지켜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을 향해야 합니다.

 

마지막 다섯째 줄에는

반서갱동(飯西羹東)에 따라

밥과 술은 서쪽

국은 동쪽

수저와 그릇은 가운데 위치

 

닭구이나 생선포의 경우 등이

위로 향하게 하는 배복방향(背腹方向)

익힌 나물은 서쪽

생김치는 동쪽에 놓는 숙서생동(熟西生東)을

지켜주면 됩니다.

 

-

 

남좌여우(男左女右)

산 사람의 상 차림과 반대이다. 수저는 중앙에 놓는다. 밥은 서쪽(왼쪽) 국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반서갱동(飯西羹東)

남자조상의 신위, 밥, 국, 술잔은 왼쪽에 놓고 여자조상은 오른쪽에 놓는다. 남자조상은 서쪽(왼쪽), 여자조상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어동육서(漁東肉西)

고기는 서쪽(왼쪽), 생선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두동미서(頭東尾西)

꼬리는 서쪽(왼쪽), 머리는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생동숙서(生東熟西)

나물은 서쪽(왼쪽), 김치는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좌포우혜(左脯右醯)

포(북어, 대구, 오징어포)는 왼쪽에 놓고 식혜(수정과등 삭힌음식)는 오른쪽에 위치한다

 

조율이시(藻栗梨枾)

보통 진열의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 순서로 놓는다

 

홍동백서(紅東白西)

예서에 따라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놓고 있다.

 

 

제사 지방 쓰는법

 

지방(紙榜)이란, 지방을 쓰는이유는

집집마다 사당을 두고 모시던 조상님의 위패(位牌)를 대신하기 위해서 입니다.

고인의 이름과 사망날짜를 적은 위패인 신주(神主)를 모시고 있지 않은 집안에서 차례나 제사에 조상을 모시기 위해 임시로 이를 종이에 기록한 것 입니다.

 

지방 접는 법은

지방을 잘라 붙일 수 없는

상황이라면 접어서 만들 수 있습니다.

 

 

부모 지방 쓰는 법

 

고인이 제주(祭主,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아버지일 경우 '顯考學生府君神位(현고학생부군신위)'라 적는다. 顯(현)은 존경의 의미로 맨 먼저 쓴다.

 考(고)는 아버지라는 뜻으로 제주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다음엔 고인의 직위를 적는데, 고인이 남성이라면 學生(학생)으로 통일해 적는다. 

이어 府君(부군)은 고인의 이름 대신 적는 것으로, 고인이 제주보다 윗사람임을 의미한다. 마지막에 쓰인 神位(신위)는 고인의 자리라는 의미다.

 

고인이 제주의 어머니일 경우엔 '顯妣孺人+본관+성씨+神位'라 적는다. 顯(현)은 존경의 의미이며, 妣(비)는 돌아가신 어머니를 뜻한다. 

고인의 직위는 여성일 경우 孺人(유인)으로 통일해 적는다. 이어 고인의 이름에는 어머니의 본관과 성씨를 적고 마지막에 神位(신위)를 적는다. 

어머니의 성이 전주 이씨(全州 李氏)라면 예시 그림처럼 '顯妣孺人全州李氏神位(현비유인전주이씨신위)'가 된다.

 

 

백부모 지방 쓰는 법

 

고인이 제주(祭主,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큰아버지일 경우 '顯佰父學生府君神位(현백부학생부군신위)'라 적는다.

 顯(현)은 존경의 의미로 맨 먼저 쓴다. 佰父(백부)는 큰아버지를 의미하며, 같은 의미가 반복되므로 돌아가신 아버지를 뜻하는 考(고)는 적지 않는다. 

이어 고인의 직위를 적을 때는 고인이 남성이라면 學生(학생)으로 적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제사대상이 제주보다 윗사람이므로, 고인의 이름 대신 府君(부군)을 쓰며 마지막에 조상의 자리를 의미하는 神位(신위)를 적는다.

 

고인이 제주의 큰어머니라면, 큰 어머니를 의미하는 佰母(백모)를 넣어 '顯佰母孺人+본관+성씨+神位'라 적는다. 이 때 顯(현)은 마찬가지로 존경의 의미를 가진다. 

고인의 직위는 여성일 경우 孺人(유인)으로 통일해 적는다. 이어 고인의 이름에는 큰어머니의 본관과 성씨를 적고 마지막에 神位(신위)를 적는다.

 큰어머니의 성이 전주 이씨(全州 李氏)라면 예시 그림처럼 '顯佰母孺人全州李氏神位(현백모유인전주이씨신위)'가 된다.

 

 

형/형수 지방 쓰는 법

 

고인이 제주(祭主,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형일 경우 아버지를 뜻하는 考(고) 대신 兄(형)을 넣어 '顯兄學生府君神位(현형학생부군신위)'라 적는다. 

존경의 의미로 顯(현)을 먼저 쓰고 兄(형)을 이어서 적는다. 다음엔 고인의 직위를 적는데, 고인이 남성이라면 學生(학생)으로 적는 것이 일반적이다. 

고인의 이름을 쓸 때는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제사대상이 제주보다 윗사람이므로 이름 대신 府君(부군)을 쓴다. 마지막에 쓴 神位(신위)는 조상의 자리라는 의미다.

 

고인이 제주의 형수(兄嫂)일 경우엔 '顯兄嫂孺人+본관+성씨+神位'라 적는다. 형과 마찬가지로, 존경의 의미를 가지는 顯(현)을 맨 먼저 쓴 다음 兄嫂(형수)를 적는다.

 고인의 직위는 여성일 경우 孺人(유인)으로 통일해 적는다. 이어 고인의 이름에는 형수의 본관과 성씨를 적고 마지막에 神位(신위)를 적는다. 

형수의 성이 김해 김씨(金海 金氏)라면 예시 그림처럼 '顯兄嫂孺人金海金氏神位(현형수유인김해김씨신위)'가 된다.

 

 

남편/처 지방 쓰는 법

 

고인이 제주(祭主,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남편이라면 아버지를 뜻하는 考(고) 대신 임금 辟(벽)을 넣어 '顯辟學生府君神位(현벽학생부군신위)'라 적는다. 

顯(현)은 존경의 의미이며, 이어 남편을 의미하는 辟(벽)을 적는다. 다음엔 고인의 직위를 적는데, 고인이 남성이라면 學生(학생)이라 적는 것이 일반적이다. 

고인의 이름을 적을 때는 이름 대신 府君(부군)이라 쓴다. 府君(부군)은 고인이 제주의 윗사람일 경우에 쓰는 표현으로, 남편이 아내의 윗사람이라 생각했던 과거의 관행이 이어진 것이다. 

마지막에 적은 神位(신위)는 조상의 자리를 의미한다.

 

고인이 제주의 아내라면, 顯(현) 대신 죽은 사람을 뜻하는 故(고)와 아내를 의미하는 室(실)을 넣어 '故室孺人+본관+성씨+神位'라 적는다. 

고인의 직위는 여성일 경우 孺人(유인)으로 통일해 적는다. 이어 고인의 이름에는 아내의 본관과 성씨를 적고 마지막에 神位(신위)를 적는다. 

아내의 성이 경주 김씨(慶州 金氏)라면 예시 그림처럼 '故室孺人慶州金氏神位(고실유인경주김씨신위)'가 된다.

 

 

-

반응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회화의 유용한 20가지 대답 패턴!  (2) 2021.06.29
유용한 요리 양념장 레시피!  (0) 2021.06.29
기초연금 수급자격에 대한 이야기!  (0) 2021.06.29
구글 검색 꿀팁!  (0) 2021.06.29
티머니 잔액조회방법  (0) 2021.06.26

댓글